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

연계 누리집

메인 컨텐츠

미디어광고연구소

국내유일의 광고전문 연구기관인 광고연구소가 학계와 업계발전의 싱크탱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

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.
원하는곳에 붙여넣기(Ctrl+V)해주세요.


박종구

박종구 연구위원의 성명,소속,직위,연구분야,전화,이메일 정보를 제공합니다.
박종구 연구위원 사진 성명 박종구
소속 미디어광고연구소
직위 연구위원
연구분야 미디어·광고산업 정책 및 비즈니스모델
전화 02-731-7422
이메일 bellnine@kobaco.co.kr
박종구 연구위원의 학력,최종학위논문,경력,학회활동,연구실적, 연구실적 내 저·역서,학술논문,보고서,학술대회 발표문,기타 기고 정보를 제공합니다.
학력
  • 2011.8.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박사
  • 1998.2.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
  • 1995.2.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
최종 학위논문
  • 2011.8. 뉴미디어 채택에 관한 통합모델 IAM-NM (Integrative Adoption Model of New Media)
    • 한국언론학회학술상: 우당신진학자논문상(2012.10)
    • SPSS Korea 우수논문상(2011.11)
경력
  • 2013.8.-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연구위원
  • 2012.-2013. 한국연구재단-서강대학교 학술연구교수
  • 2008.-2012. 서강대학교 학부/언론대학원, 세종대학교 대학원, 한양사이버대학교 미디어MBA 등 강사, SPSS Korea 강의파트너
  • 2006.-2012.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책임/연구원
  • 1999.-2006. 정보전략 컨설턴트 (APICS CPIM)
학회활동 한국언론학회, 한국방송학회, 한국광고홍보학회, 한국광고학회
연구실적 저·역서
  • 2021. <인간정서와 AI>. 한울. (공저)
  • 2021. <광고의 미래 넥스트 10년>. 학지사. (공저)
  • 2020. <빅데이터의 분석방법과 활용>. 학지사. (공저)
  • 2019. <데이터 테크놀로지와 커뮤니케이션 연구>. 커뮤니케이션북스. (공저)
  • 2018. <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>. 지금. (공저)
  • 2013. <뉴미디어 채택이론>. 커뮤니케이션북스.
  • 2010. <창조산업과 기업가정신>. 한국문화관광연구원. (공역)
학술논문
  • 2022. 광고산업을 왜 육성해야 하는가? 광고산업과 KOBACO 방송통신광고 진흥사업의 경제파급효과를 중심으로. <광고학연구>, 33권 3호, 41-62. (1저자)
  • 2020. 광고산업의 포용적 성장을 위한 미디어광고 공공데이터 조성 방안: 'MCR데이터서비스’ 사례를 중심으로.
    <광고학연구>, 31권, 1호, 149-168.
  • 2019. 미디어광고 공공데이터 조성에 관한 시론: ‘방송콘텐츠 가치정보 분석시스템(www.racoi.or.kr)’ 사례를 중심으로. <방송통신연구>, 107호, 91-127.
  • 2018. TV방송콘텐츠에 대한 인터넷반응은 TV시청률의 보완지표인가, 대체지표인가? 인터넷반응지표의 자리매김을 위한 탐색적 연구. <커뮤니케이션이론>, 14권 3호, 58-102.
  • 2018. [우수광고PR사례] TV콘텐츠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: 방송콘텐츠 가치정보 분석시스템(RACOI). <광고PR실학연구>, 11권 4호, 189-199.
  • 2013. SK텔레콤 가치네트워크의 역동적 진화에 관한 장기사례분석. <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>, 14권 5호, 2150-2156. (교신저자)
  • 2013. An Integrative Adoption Model of New Media (IAM-NM): Why a comprehensive approach?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ontent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, 7(7), 55-65.
  • 2012. 태블릿PC 채택에 관한 통합모델: 뉴미디어 채택에 관한 통합모델(IAM-NM)의 적용 가능성. <언론문화연구>, 19집, 62-103.
  • 2012. 방송환경 변화에 대응한 KBS 조직구조 변화 연구. <방송문화연구>, 24권 2호, 71-101. (교신저자)
  • 2012. 트위터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(들)의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. <커뮤니케이션이론>, 8권 3호, 179-222.
  • 2012. 경제뉴스의 경쟁 적소분석: 신문, 방송, 인터넷, SNS의 이용자 충족을 중심으로. <한국방송학보>, 26권 2호, 205-246. (교신저자)
  • 2012. Factors affecting e-book reader awareness, interest, and intention to use. New Media & Society, 14(2), 204-224. (3저자)
  • 2012. 트위터 채택에 관한 통합모델: 혁신확산이론, 기술수용모델, 혁신저항모델에 대한 통합적 접근. , 3권 1호, 35-63.
  • 2011.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채택요인에 대한 척도개발과 타당화. <커뮤니케이션이론>, 7권 2호, 22-74.
  • 2011. 저자동시인용 분석방법을 이용한 혁신확산 연구의 지적구조. <한국방송학보>, 25권 6호, 57-92. (교신저자)
  • 2011. 뉴미디어채택에 관한 통합모델 IAM-NM(Integrative Adoption Model of New Media). <한국언론학보>, 55권 5호, 448-479.
  • 2011. 마이크로블로그에 대한 채택과 혁신저항의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. , 10권 1호, 41-52. (교신저자)
  • 2010. 스마트폰 확산의 장애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: 채택보류집단의 혁신저항 결정요인을 중심으로. <방송문화연구>, 22권 2호, 37-62. (교신저자)
  • 2010. 마이크로블로그 채택모델에 관한 연구. <한국언론학보>, 54권 5호, 32-58. (교신저자)
  • 2010. 케이블방송 MPP의 채널 브랜드 포트폴리오 전략에 관한 연구: CJ미디어와 온미디어 비교를 중심으로. <한국언론학보>, 54권 4호, 5-26. (교신저자)
  • 2010.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플레이스 채택모델에 관한 연구: 혁신저항의 매개적 역할에 대한 주목. , 1권 1호, 101-125.
  • 2009. 한국 e-비즈니스 연구의 성과와 향후 연구방향. e-비즈니스연구 , 10권 4호, 29-47. (교신저자)
  • 2009. 미디어기업의 창의적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. <한국방송학보>, 23권 1호, 170-208. (1저자)
보고서
  • 2022. <빅데이터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새 정부 미디어·광고산업 진흥정책 추진과제>.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. (연구책임자)
  • 2021. <광고산업의 포용적 성장을 위한 육성방안 연구>.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. (연구책임자)
  • 2021. <미디어산업 분야 데이터 기술 활용방안 연구>.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. (연구책임자)
  • 2021. <광고산업 발전을 위한 진흥방안 연구>.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. (연구책임자)
  • 2020. <Addressable TV 광고상품 개발방안>. 이슈리포트.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.
  • 2019. <MCR 지표개발 연구: 라이프스타일 척도 및 광고효과 모델 개발>.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. (연구책임자)
  • 2019. <미디어광고 공공데이터의 사회적 가치 제고방안 연구: MCR데이터서비스를 중심으로>.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. (연구책임자)
  • 2018. <방송콘텐츠 가치정보 분석시스템 발전방안 연구>. 방송통신위원회·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. (연구책임자)
  • 2017. <TV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온라인반응과 시청지표 관계 연구>. 방송통신위원회·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. (연구책임자)
  • 2016. <광고산업 공익패널 구축방안 연구>.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.
  • 2016. <방송통신융합시대 신유형광고 법제 정비방안 연구: 방송법령 및 미디어렙법 개정방안을 중심으로>.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. (연구책임자)
  • 2015. <신유형 방송광고 등장에 따른 규제방안 수립 연구>(방통융합정책연구 KCC-2015-30). 방송통신위원회. (연구책임자)
  • 2014. <광고를 통한 한류방송콘텐츠 수익 제고 방안>. 문화체육관광부. (연구책임자)
  • 2014. <스마트광고 생태계 조성방안: KOBACO 스마트광고 진흥사업에 대한 평가와 추진방향>.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. (연구책임자)
  • 2013. 스마트BPL(Brand Placement) 비즈니스 모델 연구>.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. (공동연구)
  • 2013. <간접광고 도입 등에 따른 협찬제도의 효과적 규제방안 연구>.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. (공동연구)
  • 2012. <외주제작, 협찬시장에서의 공정거래 환경조성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 연구>(방통융합미래전략체계연구 지정2012-21). 방송통신위원회. (공동연구)
학술대회 발표문
  • 2022. 11. <방송통신 융합시대, 방송광고 이슈와 해결과제: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>. 2022 한국광고홍보학회 가을철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: ‘위기를 기회로, 방송광고 진흥을 위한 방향성 탐색’. 
  • 2022. 11. <아이작(AiSAC, Ai analysis System for Ad Creation)의 진화: KOBACO 인공지능 활용 광고제작 지원 공공 인프라 사례>. 2022 한국광고홍보학회 가을철정기학술대회: 연구회 IV 분과. 
  • 2022. 10. <OTT 뉴스에 관한 뉴스빅데이터 분석 연구>. 2022 한국광고학회 가을철정기학술대회: OTT와 인공지능 분과. (공동발표)
  • 2022. 5. <글로벌 OTT 전성시대, 방송산업 이슈와 대응과제: 케이블 TV산업의 시사점>. 한국언론정보학회 2022 봄철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: OTT 사업자에 대한 한국 케이블TV의 대응전략.
  • 2021.11. <방송광고와 인공지능: 인공지능 공공플랫폼 KOBACO AiSAC 사례발표>.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가을철 정기학술대회: 연구회 분과.
  • 2021.10. <AI 시대, 광고산업 육성 공공인프라 구축 및 지원 방향>. 한국광고학회 2021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: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광고산업 육성정책 방향 모색.
  • 2021.2. <Addressable TV광고 시장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기술 활용방향>. 한국방송학회 KOBACO 라운드테이블 특별세미나: 미디어산업 데이터기술 활용방향 모색.
  • 2020.11. <Advanced TV 광고>. 한국광고PR실학회 2020 하반기 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: OTT 플랫폼에서의 광고산업과 새로운 광고 유형.
  • 2020.11. <Addressable TV광고의 가능성과 나아갈 길>.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: 데이터 지능(DI)시대, 방송광고의 진화: 어드레서블 TV광고를 중심으로. (공동발표)
  • 2020.11. <TV광고의 진화: ‘어드레서블’ TV광고 확산을 위한 해결과제>.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가을철 정기학술대회: 광고매체 분과. (공동발표)
  • 2020.10. <OTT 서비스 경쟁력 및 지상파 방송광고에 미칠 영향력 진단>. 한국광고학회 특별세미나: OTT 서비스 시대의 지상파 방송광고 발전 방향.
  • 2020.6. <Advanced TV! Addressable TV광고 진화의 디딤돌과 걸림돌>. 한국방송학회 2020 봄철 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: 방송광고시장 활성화 방안.
  • 2019.11. <kobaco 미디어광고 공공데이터 MCR & RACOI 기반 간접광고 및 가상광고 영향력 분석>. 한국광고홍보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: 국가 간의 콘텐츠 확산을 통한 국내 브랜드 경쟁력 강화방안.
  • 2019.10. <MCR 데이터의 활용과 척도개발 방향>. 한국광고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: MCR 사회적 가치 제고방안. (공동발표)
  • 2019.5. <방송광고 품목규제 개선방안>. 한국광고홍보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: 방송광고 규제 개선 및 합리화 방안.
  • 2018.12. <매체이용행태 변화와 방송광고 판매제도 개선 방안>.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방송광고 판매효율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세미나.
  • 2018.11. In the era of data economy, KOREA TV contents re-evaluation: Focused on the multi-dimensional approach by RACOI ‘BIGDATA’ System. Paper presented at 2018 Asia Digital Broadcast Academy.
  • 2018.11. <방송통신 정부혁신 우수사례: 방송콘텐츠 가치정보 분석사업>. 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 정부혁신 콘서트.
  • 2018.10. <'숨겨진 시청자’와 TV콘텐츠 광고의 가치 재조명>. 한국광고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: 방송광고 경쟁력 제고와 판매효율화 전략방안 모색.
  • 2018.10. <데이터경제 시대, TV콘텐츠 소비분석: 2018 MCR with RACOI>. 한국광고주대회 30주년 기념 특별세미나.
  • 2018.9. <방송콘텐츠 인터넷반응 분석을 통한 방송광고 위상제고 방안: PUBLIC RACOI Indicator>. 한국광고학회 특별세미나: 지상파 방송광고의 활성화 방안.
  • 2018.6. <옴니플랫폼 소비시대, 데이터 에코시스템>. 한국방송학회 학술세미나: 새로운 플랫폼 유입에 따른 방송콘텐츠 전략의 변화.
  • 2018.5. <데이터 경제 시대 스마트광고 리터러시>. 한국언론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: 4차 산업혁명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.
  • 2018.5. <데이터 사이언스 시대, 간접광고 가치 재조명: RACOI 활용방안 제언>. 한국광고홍보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: 데이터 사이언스 시대, 방송광고 효율화 방안.
  • 2017.11. <신유형 (방송?)광고. 방송인가 아닌가 그것이 문제로다!>.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: 신유형 방송광고의 등장과 관련 규제의 진단.
  • 2015.11. <지상파 중간광고 허용기준의 필요성>. 한국광고홍보학회 2015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: 방송광고의 가치와 재조명을 통한 활성화 방안.
  • 2015.11. <‘명확성의 원칙'에서 바라본 가상광고 심의규정의 모호성>. 한국광고홍보학회 2015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: 지상파 방송광고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규제 현실화 방안 모색.
  • 2015.11. <‘스마트광고 PD스쿨’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을 위한 추진방향: Creating Shared Value with KOBACO>. 한국광고홍보학회 2015 대한민국 디지털 광고 컨퍼런스:디지털 광고의 진화와 확장.
  • 2015.5. <가상광고 허용장르 확대에 따른 규제 이슈>. 한국광고홍보학회 2015년 봄철 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: 방송환경 변화에 따른 규제 현실화 방안 모색.
  • 2015.4. <방송법 일부개정법률(案) 제73조(방송광고등) 新유형 방송광고의 법적근거 마련에 따른 해결과제>. 한국방송학회 2015 봄철 정기학술대회 기획세션: 바람직한 광고 정책과 통합방송법 정비 방향.
  • 2012.12. An Integrative Adoption Model of New Media: Focusing on the mediation role of innovation resistance. Paper presented at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and Convergence Technology.
  • 2012.11. An integrative adoption model of Twitter. Paper presented at International Conferences, MAS and ASNT.
  • 2012.10. An extension of IAM-NM explaining the post-adoption of Twitter. 한국방송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.
  • 2012.10. <트위터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의 결정요인>. 한국언론학회 2012 가을철 정기학술대회.
  • 2011.10. <소셜네트워크서비스 채택요인에 관한 척도개발>. 한국언론학회 2011 가을철 정기학술대회.
기타 기고
  • 2022. 디지털 전환시대, 방송광고의 진화. <미디어 이슈 & 트렌드>, 52호, 86-99. 
  • 2021. RACOI 데이터로 바라본 코로나19 시대 TV드라마. <2020 RACOI 데이터 활용사례집>, 9-23.
  • 2020. 코로나19 시대, KOBABCO ‘월간’ MCR로 바라본 TV광고 경쟁력. <방송문화>, 421호, 54-66.
  • 2020. 데이터 기반, TV PPL 광고효과와 광고효율 재평가. <광고1번지>, 170호, 10-11.
  • 2020. RACOI로 바라본 2019년 주목받은 TV드라마. <광고1번지>, 169호, 8-9.
  • 2020. RACOI 데이터 연간분석: 2019년 TV드라마와 예능프로그램 지형. <2019 RACOI 데이터 활용사례집>, 9-16.
  • 2020. RACOI 데이터로 본 2019년 (주목할 만한) 드라마와 예능. <RACOI 데이터 활용사례집>, 19-58. (공동집필)
  • 2018. 다차원적인 TV콘텐츠 소비분석: 인터넷반응지표. <방송작가>, 2018년 11월호, 36-39.
  • 2018. 데이터경제 시대의 TV콘텐츠 소비분석: 2018 MCR with RACOI. <광고1번지>, 2018년 12월호, 2-5.
  • 2018. 광고 시장 통화(currency)의 변화, 데이터 중심의 TV콘텐츠 가치정보 분석. <방송트렌드 & 인사이트>, 17권.
  • 2018. [전문가 리포트] 스마트 미디어 시대 광고시장의 지형변화. <미디어 이슈 & 트렌드>, 7호, 27-41쪽.
  • 2018. < T커머스, 쟁점과 대안: 소비자를 위한 홈쇼핑 정책 개선방안>. 한양사이버대학교 종합연구원.
  • 2018. '잃어버린' 시청자를 찾아서: 방송콘텐츠 가치정보 분석시스템 활용 및 발전방안. <방송문화>, 2018년 가을호, 10-30.
  • 2015. 신유형 가상광고 등장에 따른 규제 합리화 방안. <방송문화>, 2015년 여름호, 100-125.
  • 2012. An Integrative Model of Twitter Adoption. In Computer Applications for Modeling, Simulation, and Automobile (pp. 50-57). Springer, Berlin, Heidelberg.